많은 운전자가 상대 차의 과실로 인하여 피해자가 되었을 때 상대 차의 보험사에게
간접손해 보상금을 청구할 줄 모르고 있습니다. 차 수리비나 병원 치료비와 같은
직접손해 보상금은 상대 차의 보험사가 정비공장이나 병원에 직접 지급하기 때문에
피해자가 신경 쓸 일이 아니지만, 간접손해 보상금인 렌터카 요금, 교통비, 등록세,
취득세, 위자료, 기타 손해배상금 등은 피해자가 상대 차의 보험사에게 스스로
손해금액을 청구하지 않으면 지급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. 이런 보상금을 상대 차의
보험사가 알아서 지급해 주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이므로 아래 내용을 잘 알아두고
손해보는 일이 없으시기 바랍니다.
1. 차를 수리하는 기간 동안의 <렌터카 요금> 또는 <교통비>
대물배상 약관에 따르면 차를 수리하는 기간 동안 자가용 차에게는 동일한 종류의
차량을 기준으로 렌터카 요금 또는 교통비를 지급하고, 영업용 차에게는 영업손실인
휴차료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. 상대 차 과실로 교통사고를 당해 내 차를
수리한다면 꼭 상대 차의 보험사에게 렌터카 요금을 청구하십시오.
(※교통비란 렌터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렌터카 요금의 20%를 받는 것을 말함.)
[주의] 렌터카 요금은 피해자가 되어 상대 차의 보험사로부터 대물배상으로 보상받을
때만 청구할 수 있음. 자신이 가입한 보험사의 자기차량손해에서는 '렌트비용지원특약'에
가입되어 있지 않는 한 보상하지 않음
2. 새 차인데 수리비가 차량가의 20%를 넘으면 <시세하락 손해보상금>
대물배상 약관에 따르면 새 차(출고 후 2년 이하를 말함)의 경우 수리비가 사고직전
차량가액의 20%를 넘을 때는 시세하락 손해보상금을 수리비 외에 추가로 지급하게
되어 있습니다. 출고 후 1년 이하의 차는 수리비의 15%, 출고 후 1년 초과~2년 이하의
차는 수리비의 10%가 시세하락 보상금입니다. 출고된 지 2년 이하인 차인데 상대 차의
과실로 수리하게 되었다면 꼭 상대 차의 보험사에게 시세하락 손해보상금을 청구하십시오.
[주의] 사고 시점에서 출고된 지 2년을 초과한 차는 시세하락 손해보상금을 청구할 수 없음.
시세하락 손해보상금은 상대 차의 과실로 인하여 내 차가 피해를 당했을 경우 상대 차의 보험사에 청구하는 것이며, 자기 보험사에게는 청구할 수 없음.
3. 차가 완파되어 폐차하고 새로 구입한다면 <등록세>와 <취득세>
상대 차의 과실로 인한 사고 때문에 내 차를 폐차하고 새로 구입한다면 폐차된 차를
기준으로 한 등록세와 취득세 등 차량대체 비용을 상대 차 보험사에게 청구하십시오.
한국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무려 86.7%의 운전자가 이런 내용을 몰라서 보험사에게
차량대체 비용을 청구하지 않았다고 합니다. (2006년 4월 자료)
[주의] 차량대체 비용은 피해자가 되어 상대 차의 보험사로부터 대물배상으로 보상받을
때만 청구할 수 있음. 자기 과실로 자기 보험사에 자기차량손해 보험금을 청구할 때는
해당되지 않음.
4. 부상 치료를 받는다면 <위자료>와 <기타 손해배상금>
상대 차의 과실로 교통사고를 당해 부상 치료를 받는다면 상대 차 보험사에게 치료비
외에 위자료, 휴업손해액 및 기타 손해배상금 등을 청구하십시오. 한국소비자보호원에
따르면 2.1%의 피해자가 이런 내용을 몰라서 보험사에게 청구하지 않은 금액이 43억원으
추정된다고 합니다. (2006년 4월 자료)
[주의] 위자료, 휴업손해액 및 기타 손해배상금 등은 상대 차의 보험사로부터
대인배상으로 보상받을 때만 청구할 수 있으며, 자기 보험사에게 <자기신체사고>
보험금을 청구할 때는 해당되지 않음.
그리고 위에서 알려드린 4가지의 사고보상금 중에서 아직 받지 못한 금액이 있다면
청구하십시오. (3년이 경과하지 않은 사고에 대해서는 청구가 가능함)
중복이면 죄송하고 아니면 추천한방^^
3년이내 사고는 가능합니다. 단 과실률이 30%미만이여야 합니다. 필요한서류들도 있습니다.
자동차등록증-사고사실확인서-수리내역서및견적서-수리사진등이 필요합니다.
친절하게 어디로 연락하라면서...그래서 등록증 보내주고 보상금 받았던 기억이.....
0/2000자